회사소개 방수공법 건축 공사 토목 제품 기술자료 고객지원
  TL 복합방수 CL 시트방수 AL 도막방수 우레탄방수 누수대응

 

 

  누수 시작점
 
직접적인 누수

누수 시작 위치 바로 아래쪽이나 근처 실내에서 누수가 발생하는 경우로써 가장 간단하게 해결할 수 있음

짧은 경로이동 누수

복합방수 등의 개발, 적용됨에 따라 많이 발생하는 방수층, 혹은 보호 몰탈 하부로 이동하여 누수가 발생하는 경우와 같이, 동일한 면에서의 이동에 따른 누수로 조금은 복잡하지만 원인 분석과 해결 방안이 도출 가능함

긴 경로이동 누수

수직면에서 수평면으로, 혹은 수평면에서 수직면으로 눈에 보이지 않는 누수 경로를 이동하면서 발생하는 누수로써 정확한 누수 시작점 파악이 어려울 수 있음

기타 누수

내부 결로, 혹은 배관 누수, 에어콘 배관 결로 등의 원인으로 건물 내부에서 자체 발생하는 누수로써, 위 경로이동 누수와 혼동되기 쉽기 때문에서 누수 원인 분석에 신중을 필요로 함

                                                                      <자세한 설명은 여기 참조>

  위치에 따른 공사(공법) 선정
 
  • 옥상방수
  • 난간방수
  • 외벽방수
  • 지하방수

             

그림과 같이 옥상 바닥에 공장에서 제조된 시트 방수재를 설치하는 시트방수와 액상 제품을 도포하여 완성하는 (우레탄)도막방수재로 구분할 수 있다.
                                                                                           <자세히>

                   

과거 동판 두겁대를 주로 사용하였으나, 결로에 의한 누수가 많이 발생하여 석재 판넬 두겁 혹은 알루미늄과 같은 금속제 두겁이 주로 사용되지만, 그렇지 못한 일반 옥상 난간(파라펫)에서의 누수도 생각보다 많이 발생하는 누수 원인으로 적절한 방수공사가 필요합니다.
                                                                                            <자세히>

     
             

건물 외벽 창호 주변의 코킹재 노화 혹은 시공불량에 따른 누수 이외에도 외장재 코킹에서의 누수 및 외장재 자체의 발수성 저하에 따른 누수가 있습니다.
                                                                                      <자세히>


         

건물 지하에서 발생하는 누수는 결로에 의한 경우도 많이있지만, 못지 않게 시공 시에 외벽 방수에 실패한 경우도 많이 있습니다.

                                                                                                           <자세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