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회사소개 | 방수공법 | 건축 공사 | 토목 제품 | 기술자료 | 고객지원 | |
방수개요 | 방수비교 | 방수기술 | 토목제품 |
|
![]() 방수에 사용되는 각종 재료에 대하여 외부 대기 온도 변화에 따른 수축 팽창계수를 고려함으로써, 사계절 온도 변화가 큰 우리나라에 적용될 수 있는 방수재료의 특성을 검토할 수 있습니다.
![]() 드레인 설치 방법
수직 드레인의 경우
수평 드레인의 경우
(자세한 내용은 담당자에게 요청 바랍니다) ![]() 건물의 외부에서 작용하는 바람에 의한 부압 으로 인하여, 건물 옥상 바닥에서도 왼쪽 그림과 같이 위치에 따라 내풍압이 다르게 나타납니다. 마릭스의 방수 공법은 위치에 따른 내풍압 차이를 고려하여 바탕면과의 접착 면적 및 접착개수를 선정하였기 때문에 안심입니다.
W = 0.6 x Er2 x Vo2 x Cf
여기서, W : 내풍압 [N/㎡] ![]() 콘크리트 구조물의 방수는 방수층에 의한열차단 효과 및 콘크리트 구조물 자체의열저항을 향상시켜 여름철 4 ∼ 7 ℃ 이상의 단열 효과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고 있습니다. 또한 겨울철 난방비용 절감 효과까지 고려하면, 일년간 최대 51%의 비용 절감 효과를 기대할 수 있습니다.
여기서, K : 지부상 열관유율
![]() 도시열섬화에 따른 도시 기온 상승 억제 효과
뿐만 아니라 자연 친화적 공간을 제공함으로
써 사용자에게 더 나은 편의를 제공할 수 있
습니다. 현재까지 국내에 소개되고 있는 거의 모든 방수 공법의 경우 2003년 8월 일본 건축학회 제2차 방수 심포지움에서 발표한 자료 혹은 JASS8 규정에 따르면, 내근성(식물 뿌리에 대한 저항성)에 상당히 취약한 것으로 추정됩니다. 따라서 이러한 공법으로 구조물 상부에 시공된 방수층이 식물 뿌리에 의하여 파손됨에 따른 누수 문제는 보수 비용 뿐만이 아니라 건축물의 내구연한 단축에도 결정적인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으므로 이에 대한 각별한 주의 및 검토가 요구됩니다.
![]() 건축물의 누수는 아래 그림에서 보는 바와 같이 직접적인 누수에서부터 짧고, 긴 경로이동에 따른 누수를 고려하여야 합니다. 그 외에도 건물 내부에서 자체적으로 발생하는 누수 부분까지 감한다면, 누수 시작점을 찾는 것은 쉬운 일이 아닙니다. 따라서 다양한 경험과 현장에서의 특징을 여러사람이 함께 고민하고 분석, 평가함으로써 누수 시작점을 분석하고, 적합한 방수기술을 적용할 수 있습니다. ![]()
![]()
![]()
![]()
|